건강

WPW증후군

거친79 2018. 8. 27. 20:13
반응형

WPW증후군


WPW 증후군(wolff-parkinson-white syndrome)이란?

WPW 증후군은 순환기 계통의 질환으로 심장에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부전도로 증후군, 조기 흥분 증후군으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원래 심장은 동결절(sinus node)에서 만든 전기 신호에 따라 규칙적으로 박동을 합니다. 심장은 이런 박동을 통해 규칙적으로 혈액을 받아 들이고 다시 내보내는 일을 합니다. 상식적으로 누구나 알고 있듯이 심장에서 혈액을 밀어내는 힘이 우리 몸 속의 혈액을 순환하도록 만듭니다. 정상적으로 박동하는 심장은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을 통해 심실(ventricle, 심장에서 동맥과 직접 연결된 부위)로 전기 신호를 전달시킵니다. 방실결절은 우리의 심장이 규칙적으로 박동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방질결절은 다른 심장의 근육에 비해 전기 신호의 전도 시간이 길기 때문에 심방(atrium, 심장에서 정맥과 직접 연결된 부위)이 박동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 심실이 박동하도록 만듭니다. 만약 이런 방실결절이 이런 역할을 해주지 못한다면 심장의 규칙적인 박동은 엉망이 되어버릴 것입니다. WPW 증후군 환자의 경우 정상인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부전도로(accessory pathway)를 통해 심방과 심실 사이에 비정상적인 전기의 자극이 일어나게 됩니다. 쉽게 말하면 정상인들에게는 없는 심장 내부의 전기자극 통로가 존재하는 것입니다. 방실결절을 통해 전기의 자극이 전달되고 규칙적인 박동을 해야 하는 심장에 전기가 통하는 다른 통로가 생김으로써 전기 자극의 전달 규칙이 무너지고 이로 인해 다시 심장의 박동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우리는 부정맥이라고 부르는데 부정맥(arrhythmia)은 심장의 전기 자극에 문제가 발생하여 규칙적인 수축 이완이 발생 되지 않고 심장의 박동이 불규칙 해지는 것을 말합니다. 심장이 매우 빨리 뛰거나 혹은 너무 느리게 박동하거나 하는 등의 증상입니다. 부전도로의 대표적인 것 중에 하나가 켄트(kent) 라는 섬유입니다. 이 켄트를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이 볼프, 파킨슨, 화이트이며 현재의 병명은 이들의 이름에서 유래하여 wolff-parkinson-white syndrome이라고 명명되었습니다. 



원인과 증상

WPW증후군의 발병 원인으로는 선천적인 원인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매우 낮은 확률로 유전적 요인이 꼽히기도 합니다. 평소에는 자각 증상이 없으나 증상이 발현되면 가슴이 매우 두근거리며 혈압이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때 어지럽고 무기력 해지는 증상이 동반되며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1분에 300-600의 불규칙한 소수축 반복 증상)이 함께 발현되는 환자의 경우 사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WPW증후군의 검사는 주로 심전도 변화의 체크 또는 부정맥 유발을 통해 진행됩니다.

치료 방법

WPW증후군의 경우 심전도에 이상이 있다고 모두 치료를 진행하는 것은 아닙니다. 심전도에 이상이 발견 되지만 한 번도 증상이 발현되지 않은 사람의 경우 치료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본인의 직업 또는 수시로 행하는 어떤 행동이 많은 사람의 생명을 책임지는 일이라면 치료를 받도록 하고 있습니다. 비행기 기장, 대중교통 기사 등이 대표적입니다. 치료는 전극도자절제술을 통해 부전도로를 절제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예후가 좋은 질병이지만 돌연사의 가능성이 있는 질병입니다.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카페인이나 알코올의 섭취를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